본문 바로가기
웹툰강좌

웹툰, 심리 묘사와 장면 연출 - 인물과 컷의 구도

by 반만교수 2023. 5. 23.
반응형

웹툰에서는 인물과 독자 간의 거리를 통해 다양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심리 묘사와 장면 연출을 통해 만들어진다.

가로의 크기가 고정된 그림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웹툰은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과 유사하게 인물들 간의 대화 및 갈등 장면에서 인물들의 표정 및 감정을 세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클로즈업을 사용하며 인물 간의 갈등을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갈등과 긴장감의 전달을 위해 순간을 짧게 끊고 미묘한 칸의 변화를 활용한다. 이는 빅 클로즈업에서 익스트림 클로즈업 칸으로 반복 연출을 통해 등장인물의 감정의 전달과 시선의 집중을 만들어낼 수 있다.

 

 

1. 인물과 컷의 구도

1) 인물 구도 연출

인물 구도 연출은 하나의 ()’에 인물을 어떤 식으로 담을 것인가에 관한 것을 말하며,

블로킹 사이즈(Blocking size)라고도 하며 화면 속에 배치된 인물의 크기에 따라 9개의 단순한 숏(Simple shot)으로 분류한다.

클로즈업(CU, Close up)

얼굴 전체(어깨선까지)를 보여주며 인물의 감정을 표정으로 보여준다.

빅 클로즈업(BCU, Big close up)

정수리를 잘라 독자의 시선을 집중하도록 하며 인물의 감정을 보여준다.

익스트림 클로즈업(ECU, Extreme close up)

등장인물들의 내면 심리 상태를 극단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표정과 대사에 집중할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 바스트 숏, 웨스트 숏, 니 숏

바스트 숏(BS, Bust shot)

얼굴과 가슴까지 보여주며 인물 표정, 행동, 위치 배경 등을 보여준다.

웨스트 숏(WS, Waist shot)

투 숏, 쓰리 숏 그룹 숏 등 여러 명이 나오는 식사나 회의 등의 모습을 보여줄 때 많이 사용된다.

니 숏(KS, Knee shot)

인물의 얼굴에서 무릎까지 상반신을 보여주며 상반신의 움직임을 통해 움직임의 특징을 나타낸다

 

- 풀 숏, 롱 숏, 익스트림 롱 숏

풀 숏(FS, Full shot)

인물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어 인물의 표정은 보이지 않고, 인물의 행동과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인물을 독자에게 좀 더 각인시키기 위해 중앙 정렬로 구성한다.

롱 숏(LS, Long shot)

인물과 배경을 함께 보여주며, 인물과 주변 상황을 알려준다.

익스트림 롱 숏(ELS, Extreme long shot)

전체 상황을 보여 주며 이야기가 전개되는 설정 숏에 해당된다.

앤트 롱 숏(Ant's long shot)

군중들이 나오는 전체 상황을 보여준다.

시점 숏(Ant's long shot)

인물의 시점에서 세계를 보여준다. 독자는 인물이 보는 모든 것을 느끼고 볼 수 있어 주인공에게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인서트 숏(Inserts shot)

인서트 숏(Inserts shot) 또는 컷인 숏(Cut-in shot)은 칸의 특정 동작이나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삽입한 칸으로, 상황이 명확해지는 특징이 있다.

특정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삽입한 인서트 숏

컷어웨이 숏(Cutaway shot)

이야기와 관련 없는 사물, 상황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컷어웨이 숏(Cutaway shot)이라고 하고, 다시 원래 장면으로 돌아오는 것을 컷백 숏(Cutback shot)이라고 한다.

리액션 숏(Reaction shot)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상대방의 반응을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주요 칸의 흐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두 칸 사이에 위치하고 의미 있는 사물이나 상황을 보여주며 연결고리 역할을 강조하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