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툰강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웹툰

by 반만교수 2023. 5. 27.
반응형

트랜스미디어는 영화 속에서 해결되지 않은 사건, 사건의 단서, , 의문점 등을 게임, 만화, , 모바일 등에서 새로운 이야기로 전개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매체를 쓴다는 점에서는 OSMU와 동일하지만 스토리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트랜스미디어로 개발되는 것들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서 개발된 모든 것들을 다 봐야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다. 제작 방식에 있어서도 OSMU는 한 콘텐츠의 성공 여부를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2, 3차 콘텐츠를 개발하지만 트랜스미디어는 처음부터 동시다발적으로 기획한다는 특징이 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트랜스미디어(Transmedia)초월’, ‘횡단을 의미하는 ‘trans’매체를 의미하는 ‘media’의 합성어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미디어 간 경계를 넘어 서로 결합, 융합되는 현상의 스토리텔링을 말한다. 하나의 이야기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미디어로 등장시키거나 하나의 캐릭터를 스핀오프*하여 새로운 콘텐츠로 만들어내는 방식 등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해당한다. (* 스핀오프 : 오리지널 영화나 드라마를 바탕으로 새롭게 파생되어 나온 작품.)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하나의 콘텐츠 자체로도 완성된 형태를 갖추면서 다른 콘텐츠와 함께 전체를 구성하고 있어야 한다.

트랜스미디어는 영화 속에서 해결되지 않은 사건, 사건의 단서, , 의문점 등을 게임, 만화, , 모바일 등에서 새로운 이야기로 전개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매체를 쓴다는 점에서는 OSMU와 동일하지만 스토리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트랜스미디어로 개발되는 것들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서 개발된 모든 것들을 다 봐야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다. 제작 방식에 있어서도 OSMU는 한 콘텐츠의 성공 여부를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2, 3차 콘텐츠를 개발하지만 트랜스미디어는 처음부터 동시다발적으로 기획한다는 특징이 있다.

트랜스미디어 & 원소스멀티유즈 도식화

<참고>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 III)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 III)는 미국 미디어 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영화 예술 교수. 2006년 헨리 젠킨스가 컨버전스 컬처라는 저서에서 트랜스미디어라는 용어를 쓰면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트랜스미디어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
UCC, Twitter, Facebook, ARG(Alternative Reality Game, 대체현실게임) 등에서 콘텐츠와 사용자는 상호 교류하게 된다.
사용자의 참여는 트랜스미디어 사건 해결의 중요한 단계가 되기도 하는데, 트랜스미디어는 내러톨로지와 루돌로지의 접점에 있는 콘텐츠이다.


내러톨로지Narratology : 읽는 텍스트
- 게임을 하나의 문화 텍스트로 규정하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서사'에 관한 분석을 중요시한다.
- 게임 텍스트의 서사와 캐릭터, 게임 이용의 특성을 잘 파악하는 것.


루돌로지Ludology : 쓰는 텍스트
- 게임 텍스트를 즐기는 이용자들의 쾌락을 중시한다.
- 게임 텍스트를 자신의 세계로 전유하는 유희적 차원을 강조한다.


형식주의와 수용미학
- 형식주의 : 텍스트의 내적 구조 분석을 중시함. '내러톨로지'와 가깝다.
- 수용미학 : 텍스트의 독해 과정에 참여하는 독자들의 반응을 중시함. '루돌로지'와 가깝다.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뜨의 텍스트론
- 읽는 텍스트 : 작가의 서사적 완결성을 중시함. 내러톨로지의 관점
- 쓰는 텍스트 : 독자가 독서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의를 중시, 루돌로지의 관점

* 출처 : David Buckingham and Andrew Bum, "Game Literacy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2008 16(3), P.324

 

반응형